비간 (필리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간은 필리핀 루손 섬 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16세기부터 스페인 통치하에 상업과 무역의 중심지였다. '시우다드 페르난디나'로 불리던 스페인 식민 시대의 건축물은 필리핀, 중국, 라틴 아메리카의 영향을 받았으며, 1999년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주요 산업은 농업과 관광업이며, 2014년에는 뉴7원더스 시티로 선정되었다. 비간은 39개의 바랑가이로 구성되어 있으며, 열대 사바나 기후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리핀의 세계유산 - 푸에르토프린세사 지하강 국립공원
필리핀 팔라완 섬에 있는 푸에르토프린세사 지하강 국립공원은 석회암 카르스트 지형, 지하강, 다양한 동식물상을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세인트 폴 지하강은 일부 구간을 배로 탐험할 수 있는 긴 지하강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이자 신 7대 자연 경관으로 지정되었다. - 필리핀의 세계유산 - 성 어거스틴 성당
필리핀 마닐라 인트라무로스에 위치한 성 어거스틴 성당은 루손 섬 최초의 석조 교회이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전쟁과 지진 속에서도 보존되어 역사적 사건의 장소이자 종교적 중심지 역할을 한다. - 필리핀의 주도 - 세부
세부는 필리핀 중앙 비사야 지방의 섬이자 주요 도시이며, '물 속으로 뛰어들다'라는 의미의 세부아노어에서 유래, 스페인 식민지 시대를 거쳐 현재 필리핀 남부의 경제·문화 중심지로 발전했다. - 필리핀의 주도 - 칼리보
칼리보는 필리핀 아클란 주의 주도로 아클란 강 하류 평야에 위치하며, 아티-아티한 축제와 보라카이행 관문인 칼리보 국제공항으로 유명한 관광 중심지이다. - 필리핀의 도시 - 세부
세부는 필리핀 중앙 비사야 지방의 섬이자 주요 도시이며, '물 속으로 뛰어들다'라는 의미의 세부아노어에서 유래, 스페인 식민지 시대를 거쳐 현재 필리핀 남부의 경제·문화 중심지로 발전했다. - 필리핀의 도시 - 다바오
다바오는 필리핀 민다나오섬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다바오 강 유역의 원주민 거주지에서 시작하여 스페인과 미국 통치 시대를 거치며 발전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남부 민다나오의 중심 도시로 성장했으며, 풍부한 자연과 다양한 문화, 활발한 경제 활동을 특징으로 한다.
비간 (필리핀)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시우다드 티 비간 (일로카노어), 룽소드 응 비간 (필리핀어) |
별칭 | 문화유산 도시 |
표어 | 비바 비간! |
시가 | 비간 시 찬가 |
위치 | 필리핀 |
지방 | 일로코스 지방 |
주 | 남일로코스 주 |
행정 구역 | 바랑가이(39개) (바랑가이 목록 참고) |
시장 | 호세 C. 싱손 |
부시장 | 란돌프 V. 싱손 |
하원 의원 | 로날드 V. 싱손 |
시 의회 | Janina Carine S. Medina-Fariñas Evaristo Singson III Larry Raboy Joy Benette A. Orio Nestor Pajaro Atty. Glendale Benzon Ada Joana Fe E. Artajos Alistin Arce Liborio F. Arca Karen R. Baquiran Jay Andia Edmund A. Supnet Mary Ann M. Ataup |
유권자 | 52,341명 (2022년 필리핀 총선) |
설립 | 1572년 |
시 승격 | 2001년 1월 22일 |
면적 | 11.0km² |
고도 | m |
인구 통계 | |
총 인구 | 53,935명 (2020년) |
가구 수 | 13,274 가구 |
소득 등급 | 1등급 |
빈곤율 | "%" (poverty_incidence_point_in_time) |
경제 | |
수입 | (revenue_point_in_time) |
자산 | (assets_point_in_time) |
지출 | (expenditure_point_in_time) |
부채 | (liabilities_point_in_time) |
지역 정보 | |
시간대 | 필리핀 표준시 (PST) |
UTC 오프셋 | +8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기후 | |
기타 정보 | |
전기 공급 | }} |
문화 유산 | |
유네스코 세계유산 | 비간 역사 도시 |
2. 어원
'비간'이라는 도시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전해진다.
가장 널리 알려진 설 중 하나는 스페인 식민지 시대 이전부터 이곳에 정착했던 중국 푸젠성 출신 상인들이 민난어로 '아름다운 해안'이라는 뜻의 美岸|비간zho(bí-gān)이라고 부른 데서 유래했다는 것이다. 당시 스페인인들은 /b/ 발음을 'V'로 표기하기도 했기 때문에 'Vigan'으로 기록되어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또 다른 유력한 설은 메스티소 강변에 많이 자라던 '비가아(bigaa)'라는 식물 이름에서 유래했다는 것이다. 스페인 탐험가 후안 데 살세도가 현지인에게 이곳의 이름을 물었을 때, 강변의 식물 이름을 묻는 것으로 오해한 주민이 '비가아'라고 답한 것이 도시 이름이 되었다고 한다.[7]
한편, 스페인 식민 지배 시기에는 공식적으로 Ciudad Fernandina|시우다드 페르난디나spa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다.
2. 1. 중국어 유래
비간 지역은 원래 중국 푸젠성에서 온 상인들의 정착지였다.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 민난어(필리핀에서는 흔히 "호키엔어"라고 부른다)를 사용하는 중국인 정착민들은 이 지역을 '아름다운 해안'이라는 뜻의 美岸|비간중국어(bí-gān)이라고 불렀다. 당시 스페인인 정착민들은 /b/ 소리를 나타내기 위해 V와 B를 서로 바꿔 사용했기 때문에, 이 민난어 이름 "비간"을 ''Vigan''으로 표기했고, 이것이 오늘날까지 사용되는 이름이 되었다.비간의 이러한 중국 유산은 이 지역 출신의 여러 엘리트 중국계 크리올 가족들을 통해 여전히 드러난다. 이들 중 다수는 스페인식 성을 채택했지만, 시퀴아(Syquia) 가문과 같이 중국에서 유래한 성을 유지한 경우도 있다. 하지만 이들 중국계 크리올 가족들은 모두 기독교인이 되었으며 스페인 문화를 받아들였다.
2. 2. 식물 이름 유래
가장 널리 알려진 도시 이름의 유래는 메스티소 강둑을 따라 풍부하게 자랐던 '비가아(bigaa)'라는 식물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스페인의 탐험가 후안 데 살세도가 지역 주민에게 이곳의 이름을 물었을 때, 주민은 강변에 자라는 식물의 이름을 묻는 것으로 오해하고 '비가아'라고 답했고, 살세도는 이를 도시 이름으로 알아들었다는 이야기이다.[7]2. 3. 기타 지명
스페인 식민 지배 시기, 비간은 공식적으로 다른 이름으로 불렸다. 도시가 처음 건설되었을 때의 정식 명칭은 Villa Fernandinaspa였는데, 이는 당시 스페인 국왕 펠리페 2세의 장남이자 왕위 계승자였던 페르난도 왕세자를 기리기 위해 "페르난도의 마을"이라는 의미로 붙여진 이름이다.[8] 이후 도시가 성장하고 누에바 세고비아 대교구의 주교좌가 비간으로 옮겨오면서, 도시의 이름은 Ciudad Fernandina de Viganspa("비간의 페르난도 시")으로 변경되었다.3. 역사
비간은 스페인 사람들이 도착하기 오래 전부터 해안 무역의 거점이었다. 16세기부터 시작된 스페인 통치하에서는 상업과 무역의 중심지로 번성했으며, 당시 도시 이름은 '''시우다드 페르난디나'''(Ciudad Fernandinaes)였다. 이 시기에 형성된 시가지 풍경은 스페인, 중국, 라틴 아메리카 건축 양식의 영향을 받아 독특한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태평양 전쟁 중에도 비간의 구 시가지는 기적적으로 파괴를 면했으며, 이러한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1999년 구 시가지가 비간 역사 도시라는 이름으로 유네스코 세계 유산(문화 유산)에 등재되었다. 또한 새로운 세계 7대 불가사의 (도시 부문) 중 하나로 선정되기도 했다.
3. 1. 스페인 식민 이전 시대
비간은 스페인 사람들이 도착하기 오래 전부터 해안 무역의 거점이었다. 당시 비간은 메스티소 강으로 둘러싸인 섬이었으며, Isla de Vigan|이스라 데 비간spa(비간 섬)으로 불렸다. 메스티소 강이 퇴적되면서 현재 비간은 더 이상 섬이 아니며 본토와 연결되어 있다. 남중국해를 통해 항해해 온 중국 상인들은 이 메스티소 강을 따라 비간 섬으로 들어왔다. 그들의 배에는 다른 아시아 왕국에서 온 상품들이 실려 있었고, 이를 코르디예라 지역의 원주민들이 가져온 금, 밀랍 및 기타 산물과 교환했다.3. 2. 스페인 식민 시대
필리핀 총독 귀도 데 라베사리스는 스페인 국왕 펠리페 2세에게 보낸 편지에서 후안 데 살세도 대위에게 병사 70~80명을 주어 비간이라 불리는 강가의 로스 일로코스 해안을 탐험하도록 했다고 언급했다. 살세도가 이끄는 스페인군은 1572년 5월 20일 마닐라에서 북쪽으로 출발하여 1572년 6월 13일 비간에 도착했다.북부 탐험을 성공적으로 마친 후안 데 살세도는 4세에 사망한 펠리페 2세의 아들 페르디난드 왕자를 기리기 위해 Villa Fernandina de Viganes(빌라 페르난디나 데 비간)을 설립했다. 살세도는 비간을 거점으로 루손 섬 북부를 돌며 카마리네스, 알바이, 카탄두아네스 지역을 평정했다. 이 공로로 살세도는 현재의 일로코스노르테, 일로코스수르, 아브라, 라유니온 및 마운틴주 일부를 포함하는 옛 일로코스 지역을 자신의 아시엔다(대농장)로 받았으며, Justicia Mayor de esta Provincia de Ylocoses(일로코스 주 시장)라는 칭호를 얻었다.[10][11]
1574년, 살세도는 자신의 엔코미엔다(위임 통치령) 수도인 비간으로 돌아와 병사들과 일부 아우구스티누스회 선교사들을 데려와 일로코스 지역의 복음화를 시작했다. 그는 이 지역을 효과적으로 통제하기 위해 스페인식 도시를 건설했다.
1591년 5월 31일, 총독 고메스 페레스 다스마리냐스는 마닐라에서 작성한 ''엔코미엔다'' 기록에서 "빌라 페르난디나라고 불리는 비간 마을은 스페인 정착민, 사제, 알칼데 마요르(지방 장관) 및 부시장으로 구성되었다. 국왕은 800개의 공물(약 3,200명에 해당)을 징수한다"고 밝혔다. 이 시기 비간은 19개의 바리오(지구)로 구성되어 있었다.
1645년에서 1660년 사이 비간은 21개의 카베사 데 바랑가이(마을 우두머리)로 나뉘었다. 비간 교구청 기록에 따르면, 당시 비간에는 다양한 인종 집단이 거주했다. 중국 이주민들은 원주민과 분리되어 El Pariancillo, los Sangleyes del parianes(파리안의 상글레이) 지역에 살았고, 스페인 정착민들은 Los Españoles de la Villaes(마을 스페인인)라는 구역에 거주했으며 약 60가구로 구성되었다.[12] 한편, 비간이 속한 일로코스 지역 전체에는 631가구의 스페인-필리핀 혼혈 가족과 44,852가구의 원주민 가족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13]
1755년, 후안 데 라 푸엔테 예페스 주교는 랄로(Lallo)의 쇠퇴를 이유로 페르난도 6세 국왕에게 누에바 세고비아 교구를 빌라 페르난디나(비간)로 옮길 것을 요청했다. 1758년, 페르난도 6세의 왕령에 따라 빌라 페르난디나는 Ciudad Fernandina de Viganes(시우다드 페르난디나 데 비간)으로 승격되었고, 누에바 세고비아 교구의 주교좌가 카가얀 랄로에서 이곳으로 이전되었다. 이 칙령 내용은 비간 종탑의 종에 새겨져 있으며, 종소리가 닿는 범위가 시우다드 페르난디나 데 비간의 영역을 나타냈다.
1849년에는 필리핀 여성 문학의 어머니로 불리는 레오나 플로렌티노가 비간에서 태어났다.
스페인 통치 기간 동안 비간은 마닐라 북쪽 약 400km 지점에 위치한 상업 및 무역의 거점으로 번성했다. 당시 도시 이름은 Ciudad Fernandinaes(시우다드 페르난디나)였다. 이 시기에 형성된 시가지 풍경은 스페인, 중국, 라틴 아메리카의 건축 양식의 영향을 받았다. 태평양 전쟁 중에도 비간의 구 시가지는 기적적으로 파괴를 면했으며, 이러한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1999년 구 시가지가 비간 역사 도시라는 이름으로 유네스코 세계 유산(문화 유산)에 등재되었다. 또한 새로운 세계 7대 불가사의 (도시 부문) 중 하나로 선정되기도 했다.
3. 3. 필리핀 혁명과 미국 점령
필리핀 혁명 시기에는 마누엘 티니오가 이끄는 혁명군이 일로카노 반군의 지원을 받아 스페인 식민지군을 공격하여 격파하고, 비간 포위전을 통해 도시를 점령했다.[14] 이후 필리핀-미국 전쟁 중에는 맥크라켄 사령관과 제임스 파커 중령이 지휘하는 미국군이 1899년 11월에 비간을 점령했다.[15]3. 4.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될 때, 비간은 1941년 12월 10일 일본 제국군에 의해 침략당한 필리핀의 첫 번째 지역 중 하나였다. 1945년에는 미군과 필리핀 연방 지상군이 일로카노 저항군을 지원하여 일본 제국군을 격파하고 비간을 해방시켰다.3. 5. 유네스코 세계유산 도시
1999년, 비간은 비간 역사 도시라는 이름으로 유네스코 세계 유산 (문화 유산)에 등재되었다.[16] 등재 이유는 아시아에서 스페인 식민 도시의 모습을 가장 잘 보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도시의 건축 양식은 필리핀, 중국, 스페인의 문화적 요소가 혼합되어 세계적으로 독특한 특징을 지닌다.비간은 루손 섬 북부, 마닐라에서 북쪽으로 약 400km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16세기부터 시작된 스페인 통치하에서 상업과 무역의 거점으로 번성했으며, 당시에는 '''시우다드 페르난디나'''(Ciudad Fernandinaes)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이때 형성된 시가지 모습은 스페인, 중국, 라틴 아메리카 건축 양식의 영향을 받았다. 태평양 전쟁 당시 비간의 시가지는 기적적으로 파괴를 면했으며, 이는 도시의 역사적 가치를 보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또한 비간은 새로운 세계 7대 불가사의의 도시 부문에 선정되기도 했다.
3. 6. 현대
2000년 12월 27일, 당시 필리핀 대통령이었던 조셉 에스트라다는 공화국법 제8988호에 서명하여 비간의 도시 지위를 공식적으로 재확인하였다. 이는 스페인 국왕 페르난도 6세가 1757년 9월 7일에 발효한 왕립 칙령에 근거한 조치로, 이 법은 비간의 현재 시 헌장 역할을 한다.[17] 해당 법률은 별도의 국민투표 없이 2001년 1월부터 효력이 발생했다.2014년 12월 7일, 비간은 뉴7원더스 시티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5]
2022년 7월 27일, 규모 7.0의 지진이 루손 일부 지역을 강타했다.[18] 이 지진으로 인해 비간 대성당과 오래된 주택들을 포함한 도시의 유네스코 세계 유산 유적지에 피해를 입었으며, 칼레 크리솔로고 거리의 일부 전선이 쓰러지는 등 피해가 발생했다.[19]
4. 지리
비간은 필리핀에서 가장 큰 섬인 루손섬 북부에 위치해 있다. 일로코스수르주의 주도이며, 스페인 식민지 시대 이전부터 주요 정치 및 무역 중심지였다.
마닐라에서는 407km 떨어져 있으며, 라오아그 시에서는 82km 떨어져 있고, 라 유니온 주 산페르난도에서는 138km 떨어져 있다. 산페르난도는 일로코스 지방의 지역 중심 도시이다.
4. 1. 지형
비간의 면적은 2511ha이며, 완만한 구릉이 있는 평지로 이루어져 있다. 북쪽으로는 반타이, 동쪽으로는 산타, 남쪽으로는 카오아야, 서쪽으로는 산타 카탈리나와 접하며, 남서쪽으로는 남중국해에 면한다.과거 비간은 아브라 강, 메스티조 강, 고반테스 강에 의해 본토와 분리된 섬이었다. 현재 이 강들은 비간 평원의 중요한 수계(水系)를 형성한다. 특히 아브라 강과 메스티조 강은 반타이 강, 반타오아이 강, 나우만 강, 산토 토마스 강 등과 함께 평야 지대를 배수하며 홍수를 조절한다. 이 강들은 15세기부터 19세기까지 물자와 사람을 운송하는 주요 경로로 이용되어 비간의 번영에 기여했으며, 그중 메스티조 강이 소형 선박 운항에 특히 중요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질학적으로 비간은 일로코스 해안 평야의 일부인 제4기 시대 퇴적 평원, 즉 비간-반타이 평야에 속한다. 이 평야는 동쪽으로 사암과 셰일이 교차하는 중신세 퇴적층 및 변성암 지형과 경계를 이룬다. 평야 중앙에는 북동-남서 방향의 플리오-플레에스토세 시대 능선이 있어 평야를 남북으로 나누며, 남쪽 산타 지역에는 남북 방향의 단층이 끝나는 지점이 있다. 북부 평야는 반타오아이 강 등이, 남부 평야는 주로 아브라강이 배수를 담당한다.
비간-반타이 평야는 대부분 경사도 0~8%의 평탄지에서 완만한 구릉지로 구성된다. 비간 시가지 자체는 평탄한 편이나, 바랑가이 타막, 불랄라, 살린데그 등 일부 지역에는 해발 고도 약 50m에 달하는 언덕이 분포한다. 평야 동쪽 가장자리는 경사 40~60%의 가파른 지형을 보이며 고도가 600m를 넘기도 한다. 도시 동쪽 약 10km 지점에는 비간 강이 흐르는 비간 갭 언덕이 두드러진 지형 특징으로 나타난다.
용도 | 비율 |
---|---|
농업 | 약 60% |
주거 | 약 32% |
상업 및 산업 | 약 3% |
공공 기관 | 약 1% |
기타 | 산림 보호 구역, 양어장 등 포함 |
4. 2. 토양
비간에는 다섯 가지 주요 토양 유형이 존재한다. 각 토양은 고유한 특성과 용도를 가지고 있다.토양 유형 | 면적 (ha) | 주요 특징 및 용도 |
---|---|---|
반타이 양토 Bantay loamilo | 36.67ha | 라오이스 남부에 분포하며, 목초지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
우민간 사질토 Umingan sandilo | 1191.57ha | 밭벼와 채소 재배에 적합한 사질토이다. |
산 마누엘 점토 양토 San Manuel clay loamilo | 1244.57ha | 바나나, 목화, 채소 재배에 가장 적합한 점토양토이다. |
반톡 점토 Bantog clayilo | 31.65ha | 비간 토양 중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유형이다. 점토 재질로, 항아리, 단지 등 각종 토기를 만드는 데 가장 적합하다. |
해변 모래 Beach sandeng | 7.28ha | 주로 해안가에서 발견되며, 코코넛 농장에 가장 적합하다. |
4. 3. 바랑가이

비간은 39개의 바랑가이로 정치적으로 세분화된다. 이 중 30개는 농촌으로 분류되며 면적은 2366ha이고, 나머지 9개는 ''포블라시온'' 바랑가이로 분류되며 총 면적은 144.75ha이다. 각 바랑가이는 푸록으로 구성되며 일부는 시티오를 가지고 있다.
분류 | 바랑가이 이름 |
---|---|
포블라시온 (Poblacion) | 바랑가이 I |
바랑가이 II | |
바랑가이 III | |
바랑가이 IV | |
바랑가이 V | |
바랑가이 VI | |
바랑가이 VII | |
바랑가이 VIII | |
바랑가이 IX | |
농촌 (Rural) | 아유산 노르테 |
아유산 수르 | |
바라카 | |
베댕 다야 | |
베댕 라우드 | |
봉톨란 | |
불랄라 | |
카발랑게간 | |
카바로안 다야 | |
카바로안 라우드 | |
카망안 | |
카팡팡안 | |
민도로 | |
나상갈란 | |
판타이 다야 | |
판타이 파티마 | |
판타이 라우드 | |
파오아 | |
파라통 | |
퐁-올 | |
푸록-아-바싯 | |
푸록-아-다클 | |
라오이스 | |
룩수아난 | |
살린데그 | |
산호세 | |
산훌리안 노르테 | |
산훌리안 수르 | |
산 페드로 | |
타마그 |
4. 4. 지질 및 광물 자원
비간 평원에는 산타 카탈리나에서 끝나는 단층 경향이 있다.비간 지역에는 퇴적암과 변성암이 분포하며, 주로 충적토, 하성퇴적물, 호성퇴적물, 늪성퇴적물과 같은 퇴적층과 산호, 해안암 등의 해안 퇴적물이 포함된다. 이러한 퇴적물은 주로 비간의 해안 지역에서 발견된다.
비간에서 중요한 비금속 광물 자원은 점토이다. 이 점토는 현지에서 burnay|버네이ilo라고 불리는 흙 항아리를 만드는 데 사용되며, 다양한 용도와 크기의 토기를 제작하는 데 쓰인다. 특히 bantog clay|반톡 점토ilo로 알려진 점토는 벽돌을 만드는 기본 재료로, 비간의 스페인풍 가옥 건설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4. 5. 기후
비간은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열대 사바나 기후(Aw)에 속한다. 건기(11월부터 4월까지)와 우기(5월부터 10월까지)가 뚜렷하게 구분되는 것이 특징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2506mm이며, 기록된 가장 많은 연 강수량은 6933mm이다.평균 기온은 26°C이다. 평균 최고 기온은 30.9°C이고, 평균 최저 기온은 21.1°C이다. 연평균 7개에서 10개 정도의 태풍이 비간 지역을 통과한다. 평균 상대 습도는 81%이다.[20][21]
5. 인구
2020년 필리핀 통계청 인구 조사에 따르면 비간의 인구는 53,935명이며, 인구 밀도는 2,100명/km²이다.
6. 경제
필리핀 통계청에서 발표하는 자료를 통해 비간의 빈곤율 추이를 확인할 수 있다.[43][44][45][46][47][48][49][50][22][23][24][25][26][27][28][29]
7. 정부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룸)